국제수지와 국민소득 계정

 

¢국민소득 계정

-폐쇄경제에서의 국민소득 계정

      Y = C+I+G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

      Y: 소득, C: 소비, I: 투자, G: 정부지출

-개방경제에서의 국민소득 계정

      Y = C+I+G+(X-IM)              

      X: 수출, IM: 수입

 

¢개방경제에서 국민소득과 총지출(A=C+I+G)과의 관계

-(2-4)에 총지출을 대입하고 정리

      Y-A = X-IM                   

-국민소득이 총지출을 초과하면 경상수지 흑자, 반대이면 경상수지 적자

 

¢경상수지와 저축(S)·투자(I)와의 관계

-국민소득 계정에서 국민소득은 결국 C+S+T(조세)로 처분됨

     C+S+T = C+I+G+(X-IM) (*설명의 편의상 순이전수입 TR은 생략함*)

-양변의 소비를 상쇄하고 식을 정리

     (S-I)+(T-G) = (X-IM)               

-경상수지 흑자는 민간의 순저축과 재정흑자의 합으로 나타남

-경상수지 적자는 민간부문에서 저축 이상으로 투자했거나 정부부문에서 재정적자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

* 참고: 미국 경상수지 적자의 원인에 대한 공방

-2000년대 들어 미국 경상수지 적자는 사상 최대를 기록

-미국은 다른 국가들의 환율정책, 보호정책 등 때문이라고 비난

-다른 국가들은 미국 소비자들의 과도한 지출, 방만한 재정운용때문이라고 비난

-이러한 논쟁은 1980년대에도 유사하게 전개됨

 

국제수지와 통화부문과의 관계

 

¢경상수지와 외화자산

-경상수지 흑자는 외국에 더 많은 물건을 팔아 외화를 취득했음을 의미하기 때문에 순외화자산(NFA)이 증가하고, 반대로 적자의 경우에는 순외화자산이 감소

-즉 경상수지와 순외화자산 간에는 다음의 관계가 성립

      (X-IM) = ΔNFA           

¢국제수지와 통화공급

-중앙은행의 대차대조표에서 본원통화(H)는 국내 여신(DC)과(DC) 순외화자산의 합과 일치

      NFA+DC= H                

-따라서 외화자산의 변화가 생기면 본원통화도 변화

      ΔNFA+ΔDC = ΔH          

 

¢불태화 정책

-대부분의 통화당국은 국제수지 불균형에 따라 통화량이 변하는 것을 원치 않음: 국내 물가 및 경기에 대한 영향 우려

-따라서 국제수지 불균형의 통화량에 대한 영향을 방지하고자 하는데 이러한 정책을 불태화정책불태화 정책(sterilization policy) 혹은 중화정책이라고

-이와 달리 국제거래에 따른 본원통화의 변동을 그대로 허용하는 경우를 태화정책태화 정책(non-sterilization policy) 혹은 비중화정책이라 함

 

국제수지와 국제투자 대조표의 관계

 

¢국제수지표 vs. 국제투자대조표

-국제수지표: 일정 기간 동안 일어난 모든 국제거래를 종합적으로 정리한 통계

-국제투자 대조표:특정 시점에서 한 국가의 대외투자 잔액과 외국인의 국내 투자 잔액 및 그 변동내역을 나타낸 표

-양자는 전혀 다른 통계라기보다 광의의 국제거래통계를 구성하는 두 요소, , 국제수지표는 flow 통계이고 국제투자 대조표는stock 통계에 해당

 

¢국제투자 대조표의 구성

-국제투자 대조표의 증감내역은 거래요인과 비거래요인으로 구분하여 기록

-거래요인에 의한 증감액은 국제수지표의 투자수지 및 준비자산 증감의 합계와 일치

'금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환율, 외환 포지션  (1) 2021.06.24
외환시장의 개념과 구조  (0) 2021.06.23
국제수지의 구성  (3) 2021.06.21
국제수지의 종류  (0) 2021.06.20
국제금융의 구성  (2) 2021.06.19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