국제주식시장
국제주식시장의 개요
국제주식거래의 개념
- 국제주식거래는 국내 혹은 외국거래소에서 국내인의 외국기업 혹은 외국인의 국내기업 주식거래를 포괄
- 국제주식거래는 국가의 통치권 범위 안에 있는 각국 거래소시장을 중심으로 발전
- 반면 국제채권거래는 국가의 통치권 밖에 있는 유로시장을 중심으로 발전
국제주식시장의 의미
- 발행자 입장: 주주기반 확대, 국제적 명성 제고 등의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시장
- 투자자 입장: 외국기업의 주식에 분산투자할 수 있는 기회 제공하는 시장
- 증권회사 입장: 외국고객을 대상으로 주식발행 및 유통업무를 제공하기 위해 국내외 증권사와 경쟁하는 시장
- 증권거래소: 외국의 거래소와 경쟁적으로 주식거래를 성사시키는 시장
국제주식시장의 주요 상품
- 각국의 주식
- 유로주식, 예탁증서(depositary receipt; DR)
- 펀드: 폐쇄형 국가펀드(closed country fund), 글로벌 뮤추얼펀드(global mutual fund), 국제 뮤추얼펀드(international mutual fund)
- 각 상품은 주식시장의 국제화 방법과 관련
주식시장의 국제화 방법
각국 주식시장에 투자
- 한 국가의 투자자들이 다른 국가 거래소에 상장된 주식에 투자해 주식거래 국제화
- 이는 자본자유화 및 금융시장개방의 직접적 결과
- 이러한 거래에 따른 거래정산을 편리하게 하고 외환매매비용 및 시간대 불편 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세계적으로 활발히 거래되는 주식을 포괄하는 단일시장이 바람직할 수도 있음
여러 국가의 주식시장에 동시상장
- 복수국가의 거래소에 상장해 국내주식을 국제화
- 일부 국가에서는 주식예탁증서(DR)를 통해 복수상장
* 참고: DR은 원주를 발행회사 소재국의 은행(보관기관)에 맡겨 두고 국제적인 명성이 있는 해외은행 또는 신탁회사가 그 주식을 담보로 해외에서 발행, 유통시키는 외화표시증권
- 복수상장의 한 변형으로 유로주식을 이용해 주식을 국제화할 수도 있으나 별로 발달되지 못함
* 참고: 유로주식은 전체의 일부분이 본국 이외의 지역에서 발행되는 주식으로 여러 나라의 은행들로 구성된 신디케이트에 의해 배분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유로채와 유사
펀드에 대한 투자
- 펀드매입을 통해 국제주식거래의 효과를 누릴 수도 있음
- 펀드투자는 개인으로 하여금 해외투자에 따르는 정보수집비용, 거래비용, 제도적 장벽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함
- 또한 펀드투자는 다양한 포트폴리오구성을 가능하게 해 국제분산투자에 따르는 추가적인 이익을 창출할 수 있음
- 펀드는 전문지식과 고도의 정보를 가진 기관에 의해 운용되므로 운용기관의 전문적인 지식의 혜택을 누리게 함
* 참고: 펀드(fund)
- 펀드란 다수의 고객으로부터 자금을 모아 전문적인 운용기관이 투자하고 그에 따른 성과를 고객에게 분배하는 간접투자상품
- 펀드의 지분수 고정 여부에 따라 지분수가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는 폐쇄형펀드(closed-end fund)와 펀드의 지분수가 고정되어 있지 않아 새로이 지분발행이 가능한 개방형펀드(open-end fund, 상호기금이라고도 함)로 나누어짐
- 또한 해외증권 투자비중에 따라 투자자금 전부를 한 국가에 투자하는 국가펀드(country fund), 국내외 포함 전 세계 자산을 투자대상으로 하는 글로벌펀드(global fund), 주로 해외자산에 집중투자하는 국제펀드(international fund)로 나눔
주요 주식시장의 구조와 주가지수
- 국제주식시장은 각국 거래소를 중심으로 발전해 왔으므로 각국 주식시장의 특징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
미국주식시장
- 증권거래법에 의해 증권거래위원회(SEC)에 등록하는 전국증권거래소시장과 나스닥시장(NASDAQ)을 대표로 하는 장외시장으로 구분
- 뉴욕증권거래소(NYSE)는 거래소에서 배정받은 특정종목을 전문적으로 취급하면서 시장조성의 역할을 수행하는 스페셜리스트(specialist) 제도를 운영
- NYSE는 2006년 Euronext와 합병을 성사시켜 세계 최대의 증권거래소로서의 위치를 더욱 견고히 함
- 나스닥 시장은 경쟁적으로 마켓메이커(market maker)들이 자신의 계산으로 주식을 매매하는 전형적인 딜러시장의 형태를 띰
일본주식시장
- 동경, 오사카, 나고야, 후쿠오카, 삿포로 등 5개의 거래소시장과 일본증권업협회가 설립한 점두거래시장인 JASDAQ과 MOTHERS가 있음
중국주식시장
- 1984년 주식 발행이 시작된 이후 1990년 상해증권거래소, 1991년 심천증권거래소가 개설되고 1992년 감독기관인 중국증권감독위원회(CSRC)가 설립되면서 본격적으로 발전
- A주시장, B주시장, 홍콩에 개설된 H주시장과 Red chip시장이 있음
- 2014년부터 후강통을 통해 상해거래소와 홍콩거래소의 교차거래 가능
영국주식시장
- 1973년 3월에 전국의 증권거래소를 합병, 단일 증권거래소를 설립하고 9 개소에 입회장을 설치해 놓음
- 런던증권거래소는 이 중 런던의 입회장을 의미
- 런던증권거래소는 1773년 커피점을 중심으로 주식 중개업자가 비공식으로 영업을 한 것이 효시
- 1801년 이들 중개업자가 모금해서 거래소 건물을 완성함으로써 현재의 거래소로 정식 탄생
주요 주가지수
개요
- 주가지수는 상장주식의 가격변동을 일정한 방식으로 평균하여 하나의 숫자로 나타낸 것
- 기준시점을 100으로 하고 현시점의 지수를 나타내 비교를 용이하게 함
주가지수 산출방법
- 다우존스방식
- 시가총액방식: 대부분의 주가지수
¢
¢대표적 주가지수
- 각국의 대표적 주가지수
- 국제주식시장지수: MSCI지수들(세계지수, 유럽지수, EAFE지수 등), FT-세계지수, 다우존스세계지수 등
국제주식시장 현황
주식시장규모
- 2017년 현재 전 세계 주식시장규모 약 79조
- 지역별: 미국, 아태, EU 순
- 시기별로 부침이 심함
유동성
- 유동성은 주식시장의 활동성을 나타내는데, 주식회전율(=거래규모/시장규모)로 측정가능
- 대부분 주식회전율이 50% 이상으로 활발한 거래
- 우리나라, 대만 등은 단타매매 활성화로 이 비율이 높음
- 보통 시기에 따라 큰 변화
집중도
- 특정 기업의 영향력이 어느 정도 되는지 파악하기 위한 지표
- 특히 국제분산투자를 하는 투자자의 입장에서 볼 때 소수기업에 의해 지배되는 주식시장은 위험분산 전략에 불리할 수 있기 때문
- 뉴욕 및 동경 증시에서는 비교적 잘 분산된 구조를 보임
- 신흥시장의 주식시장에서는 편중된 현상을 보이기도 함
* 참고: 스위스, 네덜란드, 북구 등에서는 일부 초국적 기업의 영향으로 인해 집중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는데, 이들 기업들은 전 세계에 걸쳐 영업을 하므로 집중도 자체가 해당 주식시장의 위험을 나타내지는 않는다는 견해도 제기됨